최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서부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 중이고, 낮 기온이 무려 37도에 가까워지고 있어요. 이런 극심한 무더위에선 온열질환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폭염 상황의 건강 리스크부터 예방, 대처법까지 한눈에 정리한 글이에요.
🔥 폭염 현황 한눈에 보기
- 🌡 서울 낮 최고기온 37.1도 기록 — 7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
- 서쪽 내륙 중심의 폭염경보 지역 확대 중 — 서울·경기·충남 등 다수 지역에 적용
- 밤에도 기온이 27~28도 유지되면서 열대야 11일째 지속 중
⚠️ 온열질환, 그 위험성과 증상은?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5월 15일 이후 응급실을 찾은 온열질환자 수가 1,228명에 달하고, 사망자도 8명으로 집계되었어요.
이는 작년 대비 각각 약 2.5배, 2.7배 수준입니다.
- 대표 질환: 열사병, 열탈진 등
- 공통 증상: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 위험군: 65세 이상 고령층(온열질환자 중 33.6%), 야외 근로자 군(50대 이상 61.1%) 중심
- 주요 발생 장소: 작업장·논밭·도로(실외 활동 80% 이상)

⏰ 언제 가장 위험할까?
- 가장 위험한 시간대: 오후 4시~5시, 전체 환자의 약 절반 집중
- 그 외에도 정오~오후 5시 사이도 온열 환자 많음
- 밤 사이 기온이 충분히 떨어지지 않아 열대야 지속되면 낮 건강도 악화될 수 있음
💧 예방, 이것만은 꼭! — 폭염 속 생활 수칙
1. 야외 활동 시 주의사항
- ✔ 한낮(오후 12~5시) 활동 최대한 자제
- ✔ 긴 모자, 양산·선글라스·얇은 긴 옷 등 햇볕 차단 보호 장비 필수
- ✔ 그늘 자주 들러 휴식 취하기, 카페인 음료보단 물 자주 섭취
2. 실내 환경 관리법
- ✔ 적정 실내온도 26~28도 유지, 에어컨·선풍기 병행 사용
- ✔ 수면 전 샤워 또는 미지근한 물로 체온 낮추기
- ✔ 통풍 안 되는 여름밤은 제습 기능 활용
3. 취약 계층은 특별히 더 조심
- ✔ 고령자, 어린이, 만성질환자 등은 실내 중심 생활 권장
- ✔ 야외 노출 시 보호캡 및 수시 수분 보충 필수
📊 응급 상황 발생 시 대처법
- 응급 증상: 의식 저하, 지속 구토, 경련, 심한 두통/어지럼증 등
- 즉시: 119 신고 → 시원한 장소로 이동 → 시원한 물 또는 얼음찜질
- 응급실로: 병원 방문 시 “온열질환 의심” 꼭 언급하세요
- 치료: 수액과 해열조치 중심으로 응급실 처치 진행

📌 전문가의 한마디 & 정부 대응
질병관리청과 보건당국은 야외 근로자, 농어민, 고령층 등 폭염 취약계층에게 특별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국무총리는 행정기관에 이동식 에어컨 확대 배치, 냉방버스 운영, 생수 제공 등을 지시하며 위기 대응을 강화하고 있어요.
--- ---❓ 자주 묻는 질문 (FAQ)
Q. 폭염일 때 꼭 실내에만 있어야 하나요?
☑️ 가능하면 주요 시간대(오전 10시~오후 5시)는 실내 활동이 가장 안전합니다. 다만, 필요하다면 짧고 자주 휴식하면서 진행하세요.
Q. 카페인 음료는 왜 피해야 하나요?
☑️ 이뇨 작용으로 체내 수분이 빠르게 빠져나가면서 탈수 위험이 증가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Q. 에어컨이 없을 땐 대처법이 있을까요?
☑️ 체온을 낮추기 위해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목덜미/팔/다리 찜질, 창문 개방·선풍기 사용으로 공기 순환 확보가 중요합니다.
---
✅ 핵심 요약 & 결론 — 건강 지키기 위한 필수 체크리스트
- ☀️ 서울 낮 최고 37도, 폭염 경보는 수도권 서쪽 중심으로 지속
- 🏥 응급실 온열질환자 누적 1,228명 돌파, 고령층 특히 위험
- ⏳ 오후 4~5시 가장 위험, 낮 활동 자제 필수
- 💧 물 자주 마시고 햇빛 피하며, 실내는 적절히 냉방 유지
- 🚑 의심 증상 시 즉시 응급실 또는 119 이용 — 방치 금지!
이 폭염은 단순한 이벤트가 아닙니다. 날씨 자체가 심각한 공공보건 리스크가 되는 상황이에요. 특히 노인, 야외 근로자, 어린이 등 취약군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고, 온열질환은 예방이 최선의 대응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수칙을 잘 지키셔서 안전한 여름 보내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