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여러분, 최대 50만원 공과금·보험료 납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하셨나요? 그런데 거절 통보를 받아 당황하셨던 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오늘은 왜 신청이 거절될 수 있는지, 어떤 이유로 탈락하게 되는지 꼼꼼하게 살펴보겠습니다.
📌 부담경감 크레딧 대상 및 기본 조건
- 연매출 0원 초과 3억원 이하인 소상공인 (2024년 또는 2025년 기준)
- 공과금(전기·가스·수도) 및 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산재보험 등
- 카드(체크/신용/선불)에 포인트 지급, 자동 차감 방식으로 사용
- 신청 기간: 2025년 7월 14일 ~ 11월 28일
- 사용 기한: 2025년 12월 31일까지
❗ 거절될 수 있는 주요 사유 6가지
1. 연매출 기준 미충족
연매출이 0원 또는 3억원 초과인 경우, 크레딧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국세청 부가가치세 신고 자료를 기준으로 자동 판단되며, 2025년에 개업한 사업자는 매출증빙 서류 제출이 필요할 수 있어요.
2. 사업자 상태 이상
휴·폐업 상태, 사업자등록 말소, 등록 주소와 실제 영업장이 불일치한 경우도 거절 사유입니다. 실제 영업 중인 정상 사업자만 신청 대상이에요.
3. 업종 제한 해당
유흥업소, 사행업, 담배 중개업, 가상자산 거래 등 일부 업종은 제외됩니다. 업종코드(SK코드)를 기준으로 판단하므로 미리 확인이 필요합니다.
4. 카드 등록 또는 단말기 제한
지원받은 카드를 등록하지 않거나, 공과금 카드결제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크레딧 사용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어요. 일부 사업장(예: 계약전력 20kW 이상)은 카드결제가 불가한 경우도 있다는 후기가 있습니다.
5. 중복 신청 또는 공동대표 중복
동일인이 여러 사업체로 중복 신청하거나, 공동대표에서 제외된 신청은 거절됩니다. 사업체 하나당 1인 신청만 가능하니 유의하세요.
6. 기술적 오류 및 시스템 문제
신청 초기 일부 시스템 오류, 5부제 신청 시 날짜 혼선, 카드 미등록 등으로 승인 누락 사례도 있습니다. 이 경우 전용 콜센터(1533‑0600) 또는 소진공 고객센터에 빠르게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거절 통보 후 대응 전략
- 거절 사유 확인: 문자 또는 이메일 확인 후 정확한 사유 파악
- 매출 재정증빙 필요 시 홈택스에서 부가세 신고 내역 발급
- 사업자 상태 확인: 휴·폐업 여부, 주소 일치 여부 점검
- 카드 등록 상태 확인: 카드사 앱 또는 부담경감크레딧 홈페이지에서
- 업종 확인: 업종 코드가 지원 제외 대상인지 확인
- 콜센터 문의: 시스템 오류나 특수한 사유는 1533‑0600으로 문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통합 콜센터 1533‑0100도 활용 가능)
📈 성공 사례 기반 재도전 전략
거절 이후 조건을 개선해 다시 신청하여 승인된 사례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매출 신고 누락 → 신고 후 승인, 카드 등록 누락 → 등록 후 승인, 사업자 상태 정정 후 승인된 경우도 있습니다. 실제 이용 후기에서는 “5부제일에 맞춰 신청했고, 3일 후 카드 등록해서 크레딧이 차감되었다”는 사례도 확인됩니다.
💡 체크리스트 한눈에 보기
- 매출액 기준(0~3억) 확인 ✔
- 사업자 등록 정상 여부 점검 ✔
- 업종 지원 제외 여부 확인 ✔
- 카드 등록 및 결제 단말기 가능 여부 확인 ✔
- 중복 신청 여부 여부 확인 ✔
- 거절 사유 수정 후 재신청 준비 ✔
📌 마무리하며...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은 실질적인 고정비 부담을 줄여주는 유용한 제도입니다. 하지만 조건이 맞지 않으면 거절될 수도 있고, 기술적 문제나 시스템 오류로 인해 승인 누락될 수도 있어요. 정확한 정보와 철저한 준비로 다시 한번 신청해보세요. 승인된 후에는 자동 카드 차감 방식으로 간편하게 공과금·보험료를 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