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23일부터는 카카오뱅크, 네이버, 토스, 국민은행(KB스타뱅킹), 농협은행(NH올원뱅크) 앱에서도 공식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정부가 기존의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 및 삼성월렛을 넘어, 민간 앱에 모바일 신분증 발급 기능을 개방한 결과인데요. 이제는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외국인등록증, 국가보훈등록증 등도 언제 어디서나 확인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 어떤 앱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을 수 있나요?
-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One UI 6.1 이상): 모든 앱에서 지원
- 아이폰(iOS):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 토스 앱, 카카오뱅크 앱만 지원 (KB·네이버·농협은 추후 지원 예정)
이와 같은 변화로 국민들은 자신이 평소 자주 사용하는 은행·핀테크 앱에서 간편하게 신분증을 발급받고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제는 일상 속에서의 신분 확인은 물론, 온라인 본인 인증, 금융서비스 이용까지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법적 효력은 실물 신분증과 동일할까?
네! 모바일 신분증은 주민등록법, 도로교통법 등에서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집니다. 즉, 공공기관, 관공서, 편의점, 금융기관, 주류판매점 등 실물 신분증이 필요한 모든 장소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보안은 안전할까? 신분증 도용 위험은?
모바일 신분증은 일반 앱 저장이 아닌, 스마트폰의 보안영역(삼성은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영역)에 암호화되어 저장됩니다. 중앙서버에는 신분 정보가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센터 해킹 위험으로부터도 안전합니다.
- 앱 실행 시 지문, 안면인식, 6자리 앱 비밀번호 필요
- 분실 시 즉시 차단 가능
- 누리집, 콜센터, 통신사 통해 신속 차단 가능
즉, 도난 및 분실 상황에서도 일반 실물 신분증보다 도용 위험이 훨씬 적습니다.
💼 언제부터 사용할 수 있나요?
2025년 7월 23일부터 정식 오픈되었습니다. 이번 민간개방에는 아래 민간 사업자들이 참여했습니다:
- 카카오뱅크
- 네이버
- 토스
- KB국민은행
- NH농협은행
각 기업은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보안·품질·성능 적합성 평가를 통과해 서비스를 오픈했으며, 향후 더 많은 민간 앱에서 확대될 예정입니다.
🤖 AI 시대에 모바일 신분증이 꼭 필요한 이유
정부는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AI 기반 서비스에 대비해, 모바일 신분증을 디지털 신원 인증의 핵심 인프라로 보고 있습니다. AI 서비스의 특성상 사용자의 ‘실명성과 신뢰성’이 중요한데, 모바일 신분증은 이에 최적화된 수단이기 때문이죠.
- 온라인 비대면 인증 가능 (안면인식)
- 금융사고(보이스피싱 등) 예방 효과
- 디지털 행정, 금융, 의료 서비스에서 높은 활용성
정부는 AI 인프라 확대에 따라 모바일 신분증을 금융권에 우선 적용하고, 향후 생활 전반의 인증 체계로 확장해나갈 방침입니다.
🙋♂️ 이런 분들께 특히 추천해요!
- 실물 신분증을 자주 잃어버리시는 분
- 온라인 금융 서비스 이용이 많은 분
- 은행 방문 시 신분증 지참을 자주 잊으시는 분
- 본인 인증이 자주 필요한 직장인/자영업자
이제는 실물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 하나로 내 신원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증명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 마무리 요약
- 2025년 7월 23일부터 민간 앱에서도 모바일 신분증 발급 가능
- 아이폰은 일부 앱 제한, 안드로이드는 대부분 가능
- 실물과 동일한 법적 효력 보유
- 보안·도용 우려 없음, 분실 시 차단 가능
- AI 기반 서비스 시대의 핵심 신원 인증 수단
🔗 관련 링크 모음
지금 바로 민간 앱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해보세요. 앞으로는 신분 확인도, 금융 인증도 모바일로 안전하게 해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