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계약 시 주의사항 (전세 계약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7가지)

 

전세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핵심 주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사기 피해 없이 안전하게 전세 계약을 진행하고 싶다면 꼭 확인해보세요. 빠르게 전세 계약 정보를 원하시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1. 등기부등본 반드시 열람하기

계약 전에 반드시 해야 할 첫 단계는 해당 부동산의 등기부등본 열람입니다. 등기부등본을 보면 집주인이 실제로 계약 당사자인지, 근저당이나 압류 등 권리관계는 어떤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국토교통부 '온나라 부동산포털'이나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서 쉽게 열람 가능합니다.

2. 집주인 신분증 직접 확인하기

전세 사기의 가장 흔한 수법 중 하나가 대리인 사칭입니다. 계약 상대방이 실제 집주인이 맞는지 신분증과 등기부등본 상 소유자 이름을 대조해야 합니다. 공인중개사를 통해서 진행하더라도 최종 확인은 본인이 직접 해야 합니다.

3. 전입신고 & 확정일자 필수

전세 보증금을 지키는 유일한 방법은 전입신고와 확정일자입니다. 이 두 가지가 있어야만 우선변제권이 생겨 전세보증금을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계약서 작성 후 빠른 시일 내에 관할 주민센터에서 처리하세요.

4. 계약금 송금은 반드시 집주인 명의 계좌로

계약금을 중개업자나 제3자 계좌로 보내는 건 매우 위험합니다. 반드시 등기부등본 상의 집주인 명의 계좌로 직접 송금해야 사기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체 내역도 반드시 보관해두세요.

5. 보증금 70% 이하로 설정된 집을 선호하라

깡통 전세의 위험을 피하려면, 해당 집의 시세와 보증금 비율을 따져보아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시세 대비 보증금이 70% 이하인 경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조언합니다. 국토부 실거래가 조회 시스템에서 시세 확인이 가능합니다.

6. 전세 보증보험 가입 여부 확인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또는 SGI서울보증에서 제공하는 전세보증보험은 보증금 반환이 안 될 경우 일정 금액을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집주인이 이를 꺼려할 수도 있지만, 가입 가능한 주택인지 여부는 꼭 체크해야 합니다.

7. 공인중개사 등록 여부와 중개보수 확인

중개업자를 통할 경우, 반드시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등록 여부를 확인하세요. 비정상적인 중개수수료 요구나 계약서 조작 등의 피해가 종종 발생합니다. 계약 전 중개보수는 얼마인지, 계산 기준은 무엇인지 명확히 물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전세 계약은 단순히 "좋은 집을 고르는 일"이 아니라, 안전한 금전 거래 계약입니다. 사기 한 번 당하면 수년간 재정 회복이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에, 오늘 소개한 7가지 사항을 반드시 숙지하고 계약에 임하세요. 추가로, 전세 사기 사례나 법적 구제 방법까지 함께 알아두면 더욱 안전합니다.

빠르게 더 많은 정보를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해 확인해보세요! 😊

반응형